생태 자료 갑충
Source by : http://home.kmu.ac.kr/~vivo5150/(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곤충연구 동아리 )
1. 갑충의 정의
곤충강 딱정벨레 목의 속하는 곤충의 총칭.
도든 동물 중에서 가장 큰 목으로서 현재 약 30만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극지를 제외한 세계 가지에 분포하여
우리나라 에도 약800 여종이나 분포한다. 전 동물의 3/1, 곤충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지구상에서 가장
성공한 군으로 블린다.
2. 갑충의 형태
형태 : 원형, 구형에서 부터 가늘고 긴 원통형이나 판상의 것, 호리별꼴 거기에 돌기나 가시가 듯은것 등이 있다.
구기의 형태 : 큰턱, 작은턱과 턱 수엽, 잇입술 및 아랫입술, 수염의 4부분으로 되어 있다.
빗깔 : 흑색, 황갈색, 적갈색, 또는 아름다운 금속 색이 대부분이다.
3. 발생
알에서 휴지기의 번데기를 경유하여 성충이 되는 완전 벼태를 한다.
알 : 흟속(반 날개)이나 식물 속(바구미)에 낳는 것도 있고, 한 개씩 낳는 것(풍뎅이)도 있는가 하면, 수천개를 모
아서 낳는것(가뢰)도 있다.
유충 : 큰 턱이나 몸에 있는 가시로 난각을 깨고 부화한다. 취식하면서 성장하고, 수령을 경과 하지만, 각령이 끝
날때 까지탈피 한다.
번데기 : 알몸이며 큰 턱은 관절이 없고 부속지는 몸체에 고착되지 않는다.
4. 생태
생활: 많은 다른 곤충류와 같이 눈에 두드러지지 않으나 여러 모양으로 여러 장소에서 살고 있다. 지면에 있는 것
이라도, 지표,돌 밑, 낙엽 밑, 부식토 속 등에 서식하며, 동굴 속이나 개미, 힌개미의 둥우리 속 등에 들어 있는
것도 있다.
식성 : 육식과 초식을 볼 수 있으며, 지면에 있는 것은 동물의 시체나 배설물에 모이는 것, 다른 곤충이나 작은 동
물을 포식하는 것 등이 많다.
5. 감각기관
두부에 집중되어 있지만, 진동을 느끼는 잔털은 흉부나 복부, 다리에 있다. 굴에 사는 일부 성충과 대부분은 1쌍의
복안을 가지고 있으며, 색을 느낄 수 있는 것 같다.
6. 교미행동
교미를 하기 전에 종마다 고유의 특이한 신호를 보내고, 그 신호를 상대로 부터 받아들 인다. 수컷과 암컷의 접촉이
성립되면 수컷이 받아들여 지기 전에 수컷이 다리나 더듬이로 암컷을 가볍게 두둘기는 등의일련의구애의식을 한다.
암수가 서로 상대를 확인하고, 암컷이 교미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을 경우에 교미가 이루어진다. 대개는 큰 암컷 위에
작은수컷이 타고, 암컷의 딱지 날개와 가슴을 다리로 단단히 잡는다. 수컷은 교미기를 암컷의 질에 삽입하고. 정자가
들어 있는 주머니나 정자가 들어있는 주머니나 정자를 보내는 것으로 교미가 이루어 진다.
7. 방어
딱지날개 : 딱딱하고 광택이 있는 딱지날개는 다른 곤충에 대한 일차방어 선이 될 것이다.
경고색 : 먹으면 맛이 없는 갑충은흔히 검은 바탕에 적생이나 황식과 백색의 얼룩무늬가 있는 선명하고 눈에 잘뛰는
색채 패턴으로 그 사실을 선전하고 있다. 이것은 경고색으로 부르며, 척추 도물의 포식자가 한번 범한 과오를
곧 학습하는점을이용하고 있다.
소리 : 소리도 또한 포식을 제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처음으로 경험하는 예기치 못한 돌연한 쇠된소리는 포식자가 잡
은 갑충무심코 떨어뜨리기에 충분하고 이 효과는 만약 맛이 없으면 더욱 강화된다.
은폐색 : 돌밑이나 수피하, 흙속에서 생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수한 검은색이나 갈색을 따고 있다. 두드러진 서식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은 종종 배경과 닮은 현태나 색이 된다. 유독하거나 불쾌감을 줄지도 모르는 동물의 모습
을 닮은 의태도 또한, 몸을 보호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1.장수풍뎅이▼2.장수하늘소▼
3.▼(왼위)청진민줄딱정벌레
(Leptocarabus seishinensis Lapouge) 4.길앞잡이 (Cicindela chinesis Degeer)▼
▼▼고려줄딱정벌레▼
(Leptocarabus koreanus)
5.넓적사슴벌레 (Eurytrachelus platymulus)▼ 6.넓적사슴벌레▼
7.사슴풍뎅이▼ 8.무당벌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