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주거 인테리어 해부 도감
저자 : 마쓰시타 기와
건물내 인테리어의 주요성은 누구나 공감하리하 생각 합니다. 사람과 사물의 가교 역활을 하는 것인 인테리어 이기
때문 입니다 하여 미적인 아름다움을 부여 하여 좀더 아름답게 꾸미 고자 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진정한 인테리어는 미적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각 인테리어의 조화와 편의성 등 주거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
주어야 할 것입니다.
하여 저자는 근대의 11인의 여성 인테리어(건축가) 작품을 통해 주요 인테리어 테마별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부엌에 대하여 - 닫힌 공간에서 열린 공간으로 ( 부엌과 다이닝룸의 조합 형태 분리형, 대면형, 아일랜드 형 )
1. 작으면 작을 수록 부엌일이 쉬워 진다 - 동선을 분석한 배치, 가사 노동절약
2. 시스템 키친 도입 - 충분한 수납공간 확보, 식자재 보관 공간,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고려.
3. 보고 싶은 마음과 감추고 싶은 마을을 고려한다 - 적절한 부엌의 배치 : 분리형, 대면형, 아일랜드형
다이닝 룸에 대하여 - 식탁은 놓는 위치와 사람 수를 고려하여 정한다. ( 옛날의 식당이 아니다 동향의 창이 있는 곳
이 좋다, 식탁은 사람의 수를 고려하여 정하되 식탁 주위의 공간은 의자 크기와 동선을 고려해 여유있게 잡는다 )
1. 식탁은 사각형이나 원형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2. 가구의 크기 조절로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하자 ( 식탁의 조력자 사이드 보드 활용 )
3. 식욕을 듣우는 조명 ( 펜텐트 조명, 간접조명 등 )
4. 식탁의 친구 의자 ( 편안함과 조화 )
거실에 대하여 - 집 안과 밖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블라인드와 커튼 ( 인테리어 기능외 사생활 보호, 해빛차단과
같은 기능적인 면을 면밀히 고려해 설치 한다 )
1. 전망좋은 2층에 거실을 만들다 ( 고려 할만 하다, 사행활 보호에 좋은 전망 확보가 가능하다 )
2. 공간의 효율적 배치 ( 벽보다는 개방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 공간에 어울리는 쇼파 및 탁자 )
3. 플로어 스탠드 고려 ( 밝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직접 보다는 간접 조명 )
4. 식물을 인테리어로 ( 절제와 일관성을 부여 )
5. 거실은 편안함이 머무는 공간 ( 거실의 주인은 사람 TV 는 사람의 일원 하여 사람과 마주보는 소파 배치 보다는
자연 스럽게 L 자 배치를 창가가 주인이 될 수 있도록 창가 고려 하자 )
의자가 만드는 공간에 대하여 - 의자에 앉아서 무었을 하는가 ( 의자는 용도에 맏게 )
침대와 서재에 대하여 - 침대 배치와 치수 ( 침대 배치는 사람의 동선을 고려 하자 )
1. 마음이 편안해 지는 작은 공간 ( 인간은 안락한 자기만의 공간을 갓고 싶어 한다, 분의기 용도의 커튼 )
2. 침실은 잠만 자는 공간이 아니다 ( 사이드 테이블 : 작업공간, 아침 식사 등...)
3. 집중력을 높여 주는 테스크 조명 ( 서재 직 간접조명,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 설치 )
아이들 방에 대하여 - 나이와 필요한 공간은 비례하지 않는다 ( 공간의 크기보다 활용을 고려 할 것 )
1. 놀면서 정리 한다 - 놀이와 정리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2. 바닥의 높이를 달리해 공간을 분리 한다 - 2층 침대/마루 밑 너무 좋아 하죠...
3. 먹을때도 놀때도 아이와 함께
4. 아이와 같이 성장하는 가구 - 나이와 옷은 숫자는 비례하지 않는다.
작은 공간에 대하여 - 빛은 보여도 전구는 보이지 않게 ( 될 수 있으면 광원이 보이지 않게 )
1. 어서 오라고 하는 수납장 - 집의 얼굴
2. 욕실은 편히 쉬는 곳 - 볼일만 보는 곳이 아님 ( 파우더 룸, 수납장 )
3. 화장실 청소가 쉬워 진다 - 건식, 변기는 벽걸이 고려
4. 그냥 비워 두면 안된다 - 수납 공간 활용 ( 다락, 층계 밑 등.. )
5. 수납을 규격화 하다 - 이름을 붙여 놓는다,
6. 무엇이듣 걸어아 - Hang it All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을 생각 한다 (0) | 2014.07.16 |
---|---|
해외 직구 따라 잡기 (0) | 2014.07.15 |
주거해부 도감 (0) | 2014.07.04 |
주거정리 해부도감. (2) | 2014.07.03 |
마흔살 재테크 상식사전 (0) | 2014.06.22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