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가 있는 정원 가꾸기

저자 - 주택문화사

 

 

글이 눈에 잘 들어 오지 않았다, 아마도 생소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화초를 좋아하지 만

전문성이 필요한 정원에 대해서는 쉽게 다가 오지 않는다, 계획과 설계 고려 할 점, 쉽지 않다.

 

책 내용은 답이 있는 것은 아니고 그때 그때 내용을 참조하면 좋을 듯 싶다, 기본적인 정원의 기획과 고려사항,

예제, 각종 정원에 필요한 기구 및 초본, 나무 수종 소개, 텃밭에 이르기 까지 정원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망라

되어  있다. 정원 만들기를 고려 하시는 분이라면 한 권쯤을 사 두고 참조할 만한 책이다.

 

핵심 내용 : 집의 느낌(분위기) 과 주위 환경을 고려해 정원의 주 용도를 정해야 한다. 이때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하는 것이 나무의 수종을 선택 하는 것이다, 수종의 선택은 균형미, 안정감, 계절감 등이 조화 롭게 구성되어야 하며

외곽은 키가 큰나무 안쪽은 작은 나무를 심는 것이 일반 적이고, 적절한 기준 축을 나누어 균형감 있게 좌우 배치를

하여 안정감을 주고, 상록수와 활엽수를 적절히 섞고, 꽃의 개화 시기도 고려하여 계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정원은 한번에 완성하는 완성형이 아닌 1, 3, 5 년과 같이 긴 안목을 가지고 진행하는 진행형 작업임을 염두에 둔다.

 

- 정원과 자연의 경계가 모호 하도록

  첫째 : 계절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 꽃, 열매, 단풍 등 )

  둘째 : 녹음 수가 있어야 한다 ( 여름에는 그늘을, 겨울철에는 추위를 막아 주어야 한다 )

  셋째 : 수공간이 있어야 한다 ( 수생 동식물과 공간의 여유를 )

  넷째 : 거주자에게 휴식을 줄 수 있는 공간 ( 정자, 벤치, 같이 테이블 )

 

  * 정원의 공간 구성 : 진입공간, 중앙공간, 관상 공간, 휴게공간, 산책 공간  ( 엄청 커야 겠네... )

 

 - 정원 계획의 세가지 요소

   가족과 정원의 용도 고려 : 화훼정원, 휴식정원, 채소정원 등. 지나친 통일성 추구는 자연 스럼움을 회손 할 수 있다

   통일성 있는 스타일 정하기 : 정원의 주제를 정하자 ( 로즈 가든, 허브 랜드 등... )

   간단한 설계도 직접 그려 보기 : Layout 나무의 크기와 색깔, 나무잎의 계절별 변화, 꽃의 개화시기, 상록수와 활옆

   수의 적절한 배치 등  계절별 변화를 고려해 적절히 배치 한다. 

 

 - 정원 만들기 구상 14 단계

   1. 계획의 시작 ( 나의 정원은 어떻게 디자인 할 것인가 )

   2. 자신의 정원 미리 알기 ( 빈터와 주변환경 점검 )

   3. 가족과 함께 ( 이미지 보드 만들기 )

   4. 집의 외장재와 맞춘 소재로 ( 정원은 집과 한 몸 )

   5. 정원 규모에 따라 ( 공간 나누기 )

   6. 비용을 고려한 ( 구조 결정 )

   7. 경계선과 구분선 ( 석재 또는 목재 )

   8. 바닥 포장 ( 정원의 강한 이미지 )

   9. 부드러운 표면 ( 잔디 마당 )

   10. 오솔길과 지름길 ( 공간감 구성 요소 )

   11. 짜임새 있게 ( 식물 배치 하기 )

   12. 정원의 개성을 만든다 ( 식물 식재 )

   13. 시선 확보를 위한 ( 색상 이용하기 )

   14. 일석이조 ( 식용식물 기르기 )

 

 - 정원 만들기 실전.

  1. 예산 산출 

  2. 재료 구입하기

  3. 땅 고르기

  4. 주제 식물 심기

  5. 정원의 운치를 더하는 조경물 설치

  6. 화목류 배치 포인트

  7. 잔디 깍기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와 바꾼 집  (0) 2014.08.13
세상에서 가장 친절한 주택디자인 교과서  (0) 2014.08.06
집짓기 바이블  (1) 2014.07.30
스케치업 7 & 브이레이  (0) 2014.07.25
작은 땅 내 집 짓기  (0) 2014.07.18
by 끝없는 바다 2014. 8. 1. 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