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후 집주인이 할 수 있는 DIY 항목에 데트를 넣고 싶다.

 

쉬운 일은 아닐 것으로 생각되지만 관심과 열정만 가지고 있다면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다만 방법에 맞게

재대로 시공 하는가 가 문제 일 것이다.

 

이는 타성에 젓은 시공 업체 보다 Guide 에 따라 하는 것이 배우는 사람 입장에서는 좀더 남는 장사 아닌가

싶다.

 

데크 시공은 계획이 중요하며 현장상황(토질, 입지, 주위환경등 ) 그리고 자재, 공법( 간격, 하중 등 )등을 사전

에 꼼꼼히 챙겨 두어야 하며 반드시 설계도면에 입각해 작업 준비와 작업을 시행 한다.   

 

기초

 - 목제의 용도를 확인 하자

   기둥, 보, 장선, 데크 ( 땅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방부목 : 헴퍼 계열 )

 

 - 기초의 동결 심도를 확인 하자

    지역에 따라 깊이가 다르지만 표준 동결심도대비 15cm 깊이 확보 한다

    동결심도 참고 : http://khlee23.tistory.com/482

 

 - 기초 주춧돌 아래에도 기초를 보강하자

    주축돌이 놓여 있다 하여 기초가 함몰 되지는 않는다, 추축돌 및의 기초도 동결 심도를 감안 한다.

 

 

목제

 - 목제의 수종, 길이, 두깨에 따른 기둥, 보, 장선, 데크의 길이와 간격을 하중에 따라 계산에 의해 설치 한다

   일반적으로 장선의 간격은 406mm (16"), 609mm (24") 사용가능 하지만 609의 경우 예민한 사람의 경우

   우렁거림(?)을 느낄수 있어 406이 일반적인 시공 방법이다.

 

 

데크난간과 계단

 - 난간과 계단은 안전이 고려 되어야 하며 계단은 일반 목조 주택과 같은 규격이 지켜 저야 하며 난간의 최소

   높이는 90cm ( 3 feet ) 이상 이어야 하며, 난간과 난간 사이는 10cm ( 4") 를 초과 해서는 안된다. 

 

   계단 관련 : http://khlee23.tistory.com/555

 

철물

 일반적으로 철물은 녹방지릉 위해 아연도금 처리된 재품을 사용하게 되며 연결철물과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게

 된다

 

스테인

 외부에 노출된 목제를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칠 작업이 필요 하며, 상부외에 하부도 조립하기전 사전에 스테인

 작업을 하고 최종 조립후 상부칠 작업 하는 것이 좋다. ( 상부는 주기적인 칠 작업이 가능 하지만 하부는 한번

 칠 하면 그것으로 끝이다 하여 하부 칠 작업이 중요하다.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_주줏돌 (Easy-Foot4)  (0) 2016.07.04
18회 패시브하우스 실무자 교육  (0) 2016.02.04
설비 (배관 _ 오수, 하수)  (0) 2015.07.29
Hinge Pin Door stop  (0) 2015.06.05
화장실, 욕실 환기장치 [전동 댐퍼]  (0) 2015.06.03
by 끝없는 바다 2015. 9. 2. 21:26